혈관 보호에 좋은 콩의 효능
콩에 들어 있는 단백질의 양은 농작물 중에서 최고이며, 구성 아미노산의 종류도 육류비 비해 손색이 없습니다. 콩에는 비타민 B군이 특히 많고 A와 D도 들어 있으나 비타민 C는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콩을 콩나물로 재배할 때는 싹이 돋는 사이에 성분의 변화가 생겨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이 됩니다.
콩에는 영양성분 외에도 여러가지 생리활성물질이 다양하게 들어 있는데 이들은 일반적으로 반영양성분(anti-nutrient)으로 분류되어 오던 것들로 샤포닌, 피트산, 렉틴, 프로테아제, 억제제, 올리고당, 이소플라본 등입니다. 각각의 생리활성물질은 개별의 효능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샤포닌 : 식물계(종실, 뿌리, 줄기, 잎)에 널리 존재하는 배당체의 일종으로 기포성이 있기 때문에 사포닌이라고 합니다. 매우 많은 종류의 사포닌이 존재하는데, 대부분의 사포닌은 용혈작용이 있으므로, 식용으로 할 때에는 미리 충분히 물로 씻어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일부 샤포닌 하나의 예로 대두 샤포닌은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작용을 나타냅니다.
피트산 : 콩에 들어 있는 피트산은 대장에서 발암물질의 생성을 저해하며 이 외에 사포닌, 트립신저해제, 식물성스테롤 등도 항암효과에 도움을 준다. 최근에는 지방산 및 대장암 억제, 항산화 및 항암작용, 신장 담석증 치료제로서의 이용성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렉틴 : 당 결합단백질로 매우 특징적인 당 분자와 특이적인 결합을 이룬다. 세포막에 존재하는 당을 함유하는 분자 혹은 당을 갖고 있는 분자를 인지하여 이들 분자와의 결합을 통해 생물대사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일부 바이러스의 경우 그들이 가지고 있는 렉틴을 통해 숙주 세포막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프로테아제 : 촉매작용하는 필수아미노산 잔기(殘基)나 조건에 의하여 세린효소·싸이올효소·금속효소·산성효소의 4종으로 분류된다. 프로테아제는 생물에 의하여 불가결한 단백질의 재료인 아미노산을 다른 단백질 분해에 의하여 섭취할 때에 필요하며, 또 단백질 화학에 있어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올리고당 : 생체 활성 물질로서 우리 몸의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키토올리고당은 미생물이 세포막과 결합하여 미생물을 억제하므로 항균 작용을 한다. 또한 키토올리고당은 혈압 상승 억제, 혈당 조절, 항암 작용, 체내 중금속 배출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소플라본 : 이소플라본은 콩에 존재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estrogen)으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과 유사한 분자 구조 뿐만 아니라 우리 몸에서의 효능도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소플라본의 항암효과는 유방암에 대해서 가장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습니다. 유방암 이외에도 전립선암과 대장암, 심혈관 질환, 골다공증 및 폐경기 증후군 등의 예방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콩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한해살이 초본 식물로서 학명은 콩속(Glycine Linne)에 속한 콩(Glycine max Merrill)입니다. 일반적으로 콩 또는 대두(大豆)라 부르지만 열매의 크기에 따라 큰 것은 왕콩, 중간 것은 중콩, 작은 것은 좀콩, 쥐눈이콩, 나물콩, 기름콩, 콩나물콩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콩의 열매의 색깔에 따라 흰콩, 누런콩, 푸른콩, 밤콩, 검정콩, 얼룩콩, 우렁콩, 선비제비콩, 대알콩, 아주까리콩 등으로 불리기도합니다.
항암효과 : 콩의 대표적인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인 이소플라본은 암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효소의 작용을 저해하고 항암효과를 발휘합니다.
여성호르몬, 남성호르몬의 과잉분비는 유방암, 전립선암 유발을 촉진하는데 이소플라본을 적정량 섭취하면, 이 두 호르몬의 분비를 줄일 수 있어 항암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심·혈관질환 예방 : 콩 섭취는 LDL-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낮추어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혈관건강에 유익한 HDL-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을 높입니다. 이는 콩에 풍부한 이소플라본이 혈액 속 나쁜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달라붙는 것을 막아 주고 콩 지질의 함량 중 80% 이상인 불포화지방산과 필수지방산이 혈액 속의 나쁜 콜레스테롤을 낮춰주기 때문입니다.
혈압조절 : 한 연구에 따르면 콩견과(견과류처럼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살짝 볶아낸 콩류)를 매일 반 컵 먹는 것이 고혈압 약물과 같이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체내 건강에 유익한 성분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번에 콩견과를 먹는 것보다 하루에 3-4회에 나누어 먹는 것이 보다 유익합니다.
갱년기 증상 개선 : 년기 여성에게 부족한 여성호르몬 보충을 위한 에스트로겐 호르몬 제제 사용에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유방암, 자궁암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콩의 이소플라본은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구조로 여성호르몬의 활성을 조절하거나 대체작용을 하여 여성의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또한 폐경기 여성의 뇌 노화방지에 도움을 주고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식사를 통한 콩의 충분한 섭취를 권장합니다.
골밀도 증가 : 대두는 칼슘이 풍부합니다.
대두 단백질은 칼슘 배설을 촉진시키는 함황 아미노산이 적어 칼슘 흡수에 도움을 줍니다.
그러므로 콩을 많이 먹으면 뼈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이소플라본은 에스트로겐처럼 골세포 성장을 돕고 칼슘이 체외로 손실되는 것을 막아 골 밀도를 높입니다.
※ 질병은 의사와 상담받으세요.
'효능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근은 눈 건강과 혈액 콜레스테롤 감소에 좋다 (0) | 2019.07.09 |
---|---|
혈압과 노화예방에 좋은 블루베리 10가지 효능 (0) | 2019.07.09 |
면역력 강화, 피부노화 예방에 좋은 양배추의 효능 (0) | 2019.07.09 |
피부개선, 변비 예방 및 다이어트에 좋은 고구마 효능 (0) | 2019.07.09 |
혈액순환 개선, 관절염 예방에 좋은 노니 (0) | 2019.07.08 |